안녕하세요~ 힐러입니다.
오늘은 아파트 재건축에 필요한 조건 중 하나인
용적률과 대지지분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.
먼저 관련 용어를 알기 전에 면적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하나씩 살펴보고자 합니다.
- 대지면적 : 말 그대로 땅의 면적 (해당 건물 지을 수 있도록 허가된 따의 크기)
- 연면적 : 건물 내부 모든 면적+모든 층 바닥 면적을 더한 크기
- 건축면적 : 건축물 1층 바닥 면적
건폐율도 알아보면 좋겠죠.
- 건폐율 : 건축 밀도를 나태나며 대지면적 대비 건축면적으로 산출됩니다. 즉 100평방미터 대지에 건축면적이 50평방 미터라면 건폐율이 50%입니다.
- 참고내용 : 국토계획법을 통해 용도지역별 제한하여 건축물마다 도시 과밀화 억제와 일조, 채광, 통풍 등을 고려하여 제한하고 있습니다.
이제 기본 용어를 알았다면 용적률과 대지지분 알아보아요.
- 용적률 : 지하층을 제외하고 대지에서부터 얼마나 높게 지을 수 있는지의 비율을 말합니다.
토지의 용도지역에 따라 국토계획법이라는 법령에서 최대 한도가 있지만,
지자체인 시,도 조례에서 실제 상한선이 있어 상한선 내에서만 건축이 가능합니다.
그렇다면 용적률이 높을수록? 낮을수록? 재건축에 어떤 게 유리할까요? 그 기준을 보통 얼마죠?
용적률이 낮을수록 일반적으로 재건축 사업성이 좋다고 하나 보통 200%를 기준으로 평가합니다.
용적률이 낮다는 건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
대지면적에서 건축면적(연면적)이 적다는 뜻이므로 세대수가 적고 저층을 의미합니다.
예를 들어 조례 상 250% 규제가 되어있는 지역의 현재 아파트가
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용적률 120%라면 130%를 더 높이 지을 수 있습니다.
용적률이 낮아야 좋다면 재건축 사업성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?
세대수가 증가할 수 있기에 나머지 일반분양 세대로 아파트를 분양합니다.
기존 거주하고 있던 사람은 조합원 입주권을 가져가고
조합원은 재건축 공사로 인해 추가 분담금을 일반 분양대금으로 얻어
추가적인 조합원 분담금을 많이 부담하지 않고 신축아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.
물론 용적률만 낮다고 해서 좋은 건 아닙니다.
대지지분은 높아야 할 것 같은데 사업성이 나와 진행이 가능하다의 척도 정도의 기준은 얼마죠?
대지지분이란 말 그대로 전체 아파트 단지 대지면적을 세대수로 나누면 평균 대지지분이 나옵니다.
통상적으로 평균 대지지분이 15평형 이상이 되어야 사업성이 좋다고 표현합니다.
신축 아파트의 경우 평균 9~11평 정도인데 반해
15평이 훨씬 넘는 대지지분을 갖고 있고 소형평형으로만 이루어진 아파트보단
대형평형도 섞여 있는 아파트가 조합원 추가 분담금도 부담이 적기에 사업성이 더 좋다고 봅니다.
그렇다면 결론은 무엇인가요?
결론적으로 용적률이 낮으며, 대지지분이 높은 아파트 단지가
재건축 사업 진행과 사업성이 좋으므로
조합원으로서는 분담금이 환급되거나 적고
일반분양 물량으로 더욱 대체 많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'부동산 > 재건축 재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건축, 재개발 사업시행인가 무산될 가능성 1%도 안되기에 괜찮은 시기 (0) | 2023.03.26 |
---|---|
재개발, 재건축 시공사 선정 단계에서 1군 건설사, 하이엔드 브랜드? (ft. 현대건설 디에이치, 대우건설 써밋, 삼성물산 래미안, GS건설 자이, DL이앤씨 아크로) (0) | 2023.03.24 |
재개발, 재건축 매물 조합설립단계에서 주의해야 할 점 (ft. 투기과열지구에서 재건축, 재개발) (0) | 2023.03.23 |
재건축, 재개발 절차를 알아보기! (조합설립, 사업시행인가, 관리처분인가) (0) | 2023.03.22 |
재개발 용어를 알아보기 (총사업비, 감정평가액, 종전자산,종후자산평가액, 권리가액, 비례율 등) (0) | 2023.02.27 |